연구소개

코호트 연구

연구 목적

  • 뇌졸중 환자의 발병 20년까지 장기적 생존율, 재발율, 후유장애 및 삶의 질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하고, 의료 및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의 영향과 요인 파악
  •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기능 수준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중재재활의 효과를 파악하여 뇌졸중 재활의 근거를 규명하고 보건의료 정책 자료 제공
  • 코로나-19 팬데믹 이후 뇌졸중 생존율과 기능 회복 예후를 비교 분석하여 코로나-19 감염증이 뇌졸중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책 마련 근거 확립

연구 결과 활용 방안

뇌졸중 분야 정책 입안 자료

  • 국내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기능 수준 및 삶의 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
  •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에 자료로 활용

뇌졸중 중재적 치료법 개발 인프라 제공

  •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기능 수준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파악
  • 뇌졸중 후유장애 감소를 위한 명확한 치료 체계 및 방법 제시

뇌졸중 치료 및 관리에 대한 대국민 홍보

  • 뇌졸중재활 포럼 등 언론을 통한 홍보를 통해 뇌졸중 치료에 대한 인식 개선
  • 뇌졸중 치료에 대한 인식개선 대국민 캠페인에 활용

만성 질환 관리 연구에 사용

  • 뇌혈관 질환 이외 다른 질병 연구에 방법론 활용 및 비교

초발 뇌졸중 전향적 코호트 연구
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구축

(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 – I )

  • 기간

    2012년 8월 1일 ~ 2015년 5월 31일

  • 기관

    삼성서울병원, 세브란스병원, 건국대학교병원, 충남대학교병원, 전남대학교병원, 양산부산대학교병원, 경북대학교병원, 원광대학교병원, 제주대학교병원

  • 대상

    급성 뇌졸중(증상발현 7일 이내)으로 입원 치료를 경험한 모든 환자 중 본 연구에 자발적 참여 동의한 환자(7,858명)를 대상

최종목적

  •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후유장애, 활동제한, 재활치료 여부 및 삶의 질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하고,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
세부목적

  • 뇌졸중 발병 후 전향적 추적조사를 통해 장기적 후유장애 및 활동 제한,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  • 급성 뇌졸중(증상발현 7일 이내)으로 입원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 대한 전수 조사

  • 연구대상 후보군에 대한 기초 database 구축

  • 뇌졸중의 유형(출혈성, 허혈성), 중증도, 급성기 치료내용 등에 대한 자료 수집

  • 재활의료서비스 이용 특성에 따른 포괄적 기능수준, 삶의 질, 가족의 지지도 조사 및 관련 요인 분석을 통한 장애 예방을 위한 방안제시

국내 뇌졸중 환경 변화

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구축

(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 - II)

  • 기간

    2020년 1월 15일 ~ 2020년 12월 14일

  • 기관

    삼성서울병원, 세브란스병원, 건국대학교병원, 충남대학교병원, 전남대학교병원, 양산부산대학교병원, 경북대학교병원, 원광대학교병원, 제주대학교병원

  • 대상

    급성 뇌졸중(증상발현 7일 이내)으로 입원 치료를 경험한 모든 환자 중 본 연구에 자발적 참여 동의한 환자(2,431명)를 대상

최종목적

  •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, 국내 인구 구조의 변화, 2019~2022 코로나 펜데믹 감염병시대로 뇌졸중 발병 특성/역학 변화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후유장애, 활동제한, 재활치료 여부 및 삶의 질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하고,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
세부목적

  • 뇌졸중 발병 후 전향적 추적조사를 통해 장기적 후유장애 및 활동 제한,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  • 급성 뇌졸중(증상발현 7일 이내)으로 입원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 대한 전수 조사

  • 연구대상 후보군에 대한 기초 database 구축

  • 뇌졸중의 유형(출혈성, 허혈성), 중증도, 급성기 치료내용 등에 대한 자료 수집

  • 재활의료서비스 이용 특성에 따른 포괄적 기능수준, 삶의 질, 가족의 지지도 조사 및 관련 요인 분석을 통한 장애 예방을 위한 방안제시

  • 전수의 건강보험 및 통계청 사망 자료를 연계해서 국내 뇌졸중 환자의 사망률 및 생존곡선, 건강보험 이용 현황 등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 data를 보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국내 뇌졸중 환자의 사망률, 생존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
3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구축

(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 - II)

  • 기간

    2023년 1월 1일 ~ 2023년 12월 31일

  • 기관

    삼성서울병원, 세브란스병원, 건국대학교병원, 충남대학교병원, 전남대학교병원, 양산부산대학교병원, 경북대학교병원, 원광대학교병원, 제주대학교병원

  • 대상

    급성 뇌졸중(증상발현 7일 이내)으로 입원 치료를 경험한 모든 환자 중 본 연구에 자발적 참여 동의한 환자(2,260명)를 대상

최종목적

  • 2019~2022 코로나 펜데믹 감염병시대로 뇌졸중 발병 특성/역학 변화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후유장애, 활동제한, 재활치료 여부 및 삶의 질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하고,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
세부목적

  • 뇌졸중 발병 후 전향적 추적조사를 통해 장기적 후유장애 및 활동 제한,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  • 급성 뇌졸중(증상발현 7일 이내)으로 입원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 대한 전수 조사

  • 연구대상 후보군에 대한 기초 database 구축

  • 뇌졸중의 유형(출혈성, 허혈성), 중증도, 급성기 치료내용 등에 대한 자료 수집

  • 재활의료서비스 이용 특성에 따른 포괄적 기능수준, 삶의 질, 가족의 지지도 조사 및 관련 요인 분석을 통한 장애 예방을 위한 방안제시

  • 전수의 건강보험 및 통계청 사망 자료를 연계해서 국내 뇌졸중 환자의 사망률 및 생존곡선, 건강보험 이용 현황 등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 data를 보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국내 뇌졸중 환자의 사망률, 생존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
  • 뇌졸중 발병 후 전향적 추적조사를 통해 장기적 후유장애 및 활동 제한,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-19 관련 뇌졸중 역학, 예후, 특성 분석

초발 뇌졸중 후향적 코호트 연구

  • 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연구, 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연구, 3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환자의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국내 뇌졸중 환자의 초기 치료 및 임상 특성에 대한 보완하고자 수행

예후 예측 계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