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혁
-
2025
뇌졸중 환자 재활분야 장기추적조사 2기연구 1단계 (1차년도) (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질환연구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장원혁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송민근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고성화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소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25년 3월 13일~2025년 12월 31일
-
참여기관
-
2024
뇌졸중 환자 재활분야 장기추적조사 2기연구 (3차년도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장원혁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송민근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소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24년 1월 1일~2024년 12월 31일
-
참여기관
-
2023
뇌졸중 환자 재활분야 장기추적조사 2기연구 (2차년도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장원혁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송민근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소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23년 1월 1일~2023년 12월 31일
-
1월
2023년 1월 1일 3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시작
국립보건연구원(iCreaT) 활용 3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E-CRF 구축 완료
-
5월
1, 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, 재활중재코호트 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, 영양 중재코호트) 국립보건연구원(iCreaT) 데이터 이관
-
7월
자문위원회 구성( 위원장: 김연희 명예교수)
-
8월
영양 중재코호트 구축 완료 (101명)
-
11월
2023년 11월 10일 2023년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(대웅제약 베어홀 & Online)
-
12월
2023년 12월 31일 3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구축 완료 (대상자: 3,605명, 연구참여자: 2,294명)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108개월~132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96개월 추적조사 완료
재활중재 코호트 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대상자 발병 48개월~72개월 추적진행, 모든 대상자 36개월 추적완료
영양중재 코호트 대상자 발병 18~36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12개월 추적조사 완료
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30개월~48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24개월 추적조사 완료
3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3개월~12개월 추적조사 진행
학술발표 6건, 논문 6건
-
참여기관
-
2022
뇌졸중 환자 재활분야 장기추적조사 2기연구 (1차년도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송민근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소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22년 2월 8일~2022년 12월 31일
-
6월
3차 초발 급성 뇌졸중 환자 대상 다기관 공동 연구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
-
10월
2022년 10월 21일 2022년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(성균관의대 정약용홀)
-
12월
총괄연구책임자 변경 (김연희 교수 -> 장원혁 교수)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96개월~120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84개월 추적조사 완료
재활중재 코호트 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대상자 발병 36개월~60개월 추적진행, 모든 대상자 30개월 추적완료
영양중재 코호트 대상자 지속 모집
영양중재 코호트 대상자 발병 3~36개월 추적조사 진행
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24개월~36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18개월 추적조사 완료
학술발표 23건, 논문 7건
-
참여기관
-
2021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10차년도 (3단계 연구 3차년도)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송민근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소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21년 1월 1일~2021년 12월 31일
-
1월
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완료 (9개 병원에 2020년 1월 1~14일, 12월 15~31일 기간 중 발병하여 입원한 초발 급성 뇌졸중 환자 총 380명)
-
10월
2021년 10월 22일 2021년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(성균관의대 히포크라테스홀)
10년 정책보고서 발간 (우리나라 초발 뇌졸중 생존율과 후유장애 및 재활에 관한 10년 연구보고서)
-
12월
1차 초발 모집대상자 발병 84개월~108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72개월 추적조사 완료
재활중재 코호트 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대상자 발병 24개월~48개월 추적진행, 모든 대상자 18개월 추적완료
영양중재 코호트 대상자 지속 모집
영양중재 코호트 대상자 발병 3~30개월 추적조사 진행
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12개월~24개월 추적진행, 모든 대상자 6개월 추적완료
학술발표 24건, 논문 4건
-
참여기관
-
2020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9차년도 (3단계 연구 2차년도)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송민근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소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20년 1월 1일~2020년 12월 31일
-
1월
2020년 1월 15일 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시작
-
12월
2020년 12월 14일 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구축 완료 (대상자: 3,686명, 연구참여자: 2,361명)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72개월~96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60개월 추적조사 완료
재활중재 코호트 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대상자 발병 12개월~36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6개월 추적조사 완료
영양중재 코호트 대상자 지속 모집
영양중재 코호트 대상자 발병 3~18개월 추적조사 진행
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3개월~12개월 추적조사 진행
학술발표 8건, 논문 6건
-
참여기관
-
2019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8차년도 (3단계 연구, 중재연구 1차년도)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소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9년 2월 28일~2019년 12월 31일
-
2월
1기연구, 3단계, 1차년도계약
-
3월
2차 초발 급성 뇌졸중 환자 대상 다기관 공동 연구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
영양중재 코호트 다기관 공동 연구 프로토콜 개발
-
7월
영양중재 코호트 모집 시작
-
11월
2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, 영양중재 코호트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 ((주)헬스로드)
-
12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60개월~84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48개월 추적조사 완료
재활중재 코호트 대상자 발병 6개월~24개월 추적조사 진행
정책보고서 발간(우리나라 초발 뇌졸중 생존율과 후유장애 및 재활에 관한 연구보고서)
재활중재연구 3개월~24개월 추적진행
정책보고서 발간(우리나라 초발 뇌졸중 생존율과 후유장애 및 재활에 관한 연구보고서)
학술발표 10건, 논문 4건
-
참여기관
-
2018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7차년도 (2단계 연구, 중재연구 3차년도)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수연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한은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8년 1월 1일~2018년 12월 31일
-
1월
재활중재 코호트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모집 지속
-
11월
2016년 11월 24일 2016년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(코엑스 그랜드볼룸 104호)
-
12월
재활중재 코호트 구축 완료
- 운동기능 중재코호트: 198명
- 인지기능 중재코호트: 150명
- 언어기능 중재코호트: 150명
- 교육 중재코호트: 196명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48개월~72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36개월 추적조사 완료
재활중재 코호트 대상자 발병 3개월~18개월 추적조사 진행
학술발표 17건, 논문 3건
-
참여기관
-
2017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6차년도 (2단계 연구, 중재연구 2차년도)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예방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한은영 교수), 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세부책임: 한준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7년 1월 5일~2017년 12월 31일
-
참여기관 확대
한림대학교 금융정보통계학과 (통계 분석)
-
1월
재활중재 코호트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모집 지속
-
11월
정책심포지엄개최
-
12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30개월~60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24개월 추적조사 완료
재활중재 코호트 대상자 발병 3개월~12개월 추적조사 진행
학술발표 16건, 논문 2건
-
참여기관
-
2016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5차년도 (2단계 연구, 중재연구 1차년도))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한은영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,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세부책임: 안정훈 교수) -
연구기간
2016년 4월 29일~2016년 12월 31일
-
참여기관 확대
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(경제성 분석)
-
6월
재활중재 코호트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다기관 공동 연구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
-
9월
재활중재 코호트(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인지기능 중재코호트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)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 ((주)헬스로드)
-
10월
인지기능, 언어기능 중재코호트 모집 시작
-
11월
운동기능 중재코호트, 교육 중재코호트 모집 시작
2016년 11월 26일 2016년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(프레이저 플레이스 센트럴 2층 서대문 컨퍼런스홀)
-
12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18개월~48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12개월 추적조사 완료
학술발표 20건, 논문 5건
-
참여기관
-
2015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4차년도)
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지원) 수행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한은영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5년 1월 1일~2015년 12월 31일
-
1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지속 (삼성서울병원, 세브란스병원, 건국대병원, 충남대병원, 전남대병원, 양산부산대병원, 경북대병원, 원광대병원, 제주대병원)
-
6월
2단계 중재코호트 연구(운동중재코호트, 인지중재코호트, 언어중재코호트, 교육중재코호트) 프로토콜 개발
-
8월
2015년 5월 31일 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구축 완료 (대상자: 10,636명, 연구참여자: 7,858명)
-
11월
2015년 11월 20일 2015년도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(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)
-
12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6개월~36개월 추적조사 진행, 모든 대상자 3개월 추적조사 완료
학술발표 34건, 논문 6건
-
참여기관
-
2014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3차년도)
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지원) 수행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한은영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4년 4월 1일~2014년 12월 31일
-
4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지속 (삼성서울병원, 세브란스병원, 건국대병원, 충남대병원, 전남대병원, 양산부산대병원, 경북대병원, 원광대병원, 제주대병원)
-
12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3개월~24개월 추적조사 진행
학술발표 15건
-
참여기관
-
2013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2차년도)
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지원) 수행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경북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양수 교수), 원광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주민철 교수),
제주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한은영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3년 3월 15일~2014년 3월 14일
-
참여기관 확대
경북대병원, 원광대병원, 제주대병원 추가
-
3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지속
-
6월
원광대병원, 제주대병원 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시작
-
8월
경북대병원 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시작
-
11월
2013년 11월 29일 2013년도 뇌졸중 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(한국 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)
-
12월
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대상자 발병 3개월~12개월 추적조사 진행
학술발표 6건
-
참여기관
-
2012
뇌졸중 환자의 재활분야 장기적 기능 수준 관련 요인에 대한 10년 추적조사 연구(1차년도)
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지원) 수행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김덕용 교수),
건국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종민 교수), 충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손민균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2년 3월 1일~2013년 2월 28일
-
3월
2012년 3월 31일 1차 연구 워크샵
-
4월
초발 급성 뇌졸중 환자 대상 다기관 공동 연구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
-
5월
2012년 5월 26일 1차 조사원 교육 및 워크샵
-
6월
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 (㈜헬스로드)
-
7월
참여기관별 IRB 승인 취득
-
8월
2012년 8월 1일 6개 참여병원(삼성서울병원, 세브란스병원, 건국대병원, 충남대병원, 전남대병원, 양산부산대병원)에서 1차 초발 뇌졸중 코호트 모집 시작
-
참여기관
-
2011
초발 급성 뇌졸중환자의 장기적 기능수준 및 삶의 질 관련 요인 연구 (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지원) 수행
-
참여기관
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(총괄책임: 김연희 교수), 부산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신용일 교수),
전남의대 재활의학과 (세부책임: 이삼규 교수), 원광의대 예방의학과 (세부책임: 오경재 교수) -
연구기간
2011년 2월 18일~2011년 12월 17일
-
참여기관